자신감과 자존감은 다르다.
자신감은 우선 남과 비교를 했을때 자기 자신이 나은 점이 있으면 생겨난다.
남보다 이쁘다, 잘생겼다, 돈이 많다. 우선 물리적 우월감이나 소유가 상대방보다 클때 생긴다.
난 저 친구보다 성격이 좋으니까! 라고 말하면서 자신감을 갖는 사람은 없다.
반면에 자존감은 그냥 내면에서 나온다. 사실 자존감을 성인이 된 상태에서 만들어 가긴 어렵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자존감이 강하면 주변 신경을 안쓴다. 특히 상대적 열등감을 느끼지 않고 주눅들지 않으며, 남의 시선이 두렵지 않다.
나는 그냥 나다. 이 자존감은 내면으로 부터 발생해서 정착하고 굳어지는데, 성인이 되면 내면에서 발생하지 못한 자존감을 만들어 내기가
여간 어려운게 아니다. 한국에서 또는 동양에서 사용하는 단어중에 영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단어가 많다.
"효", "정" 이라는 단어가 대표적인다.
반면에 자존감은 반대로 영어에서 부터 먼저 만들어진 말이다.
동양은 개인보단 다수를 위함이 덕으로 여겨지는 문화를 갖고있기에,
자존감이란 단어는 서향철학에서 부터 먼저 발생했다.
self esteem이란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18세기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이다.
The concept of self-esteem has its origins in the 18th century,
first expressed in the writings of David Hume.(위키 피디아 발췌)
그만큼 서양문화는 개인의 자아를 더 중시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2000년대 이후 자존감이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얼마전 일이다.
우리는 현대사회속에서 수많은 경쟁과 비교속에서 자존감을 높이면, 그만큼 사회적 실망, 인간관계에서 오는 아픔을 쉽게 극복할 것으로 생각한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
자존감을 높이는 글귀, 수필, 에세이등을 찾아보면서 내면화 하려고 한다. 하지만 자존감은 트레이닝으로 만들어지는 내면의 성장이 아니다. 어린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려면 상황과 문화를 바꾸어 주면 되지만,
성인이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선 외부보단 내면에 집중해야 한다.
쉽지 않다.
최근들어 자존감 상승에 대한 도서가 많이 출판되었다. 그만큰 우울한 시대다.
그렇다면 성인들은 자존감을 어떻게 높일 수있을까? 내면의 성장은 어떻게 이룰 수있을까?
명상, 독서, 철학 수업? 물론 방법을 제시해 주지만 실천은 어렵다.
출처 : verywell mind
내가 생각하는 자존감을 올리는 방법은 단순하다. 자존감이 높은 친구와 지내라. 그리고 관찰하고 그의 생각을 따라하라.
그 또는 그와 대화하면, 그의 내면이 보인다. 그 친구는 여친 혹은 남친과 헤어져도 슬픔을 오래 간직하는 친구가 아니며, 슬픔보단 추억을 떠올리면서 삶의 한 페이지로 만드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 그들은 직장상사에게 깨져도 '모 깰만 하니까 깼겠지?"하고 웃으면서 옷갈아 입구 운동을 나가는 사람들이다. 동창회에서 키크고 잘생기고 이쁘고 명품으로 휘감은 동창을 만나도 등짝을 치면서 "많이 컷네!"라고 웃는 친구다.
자존감을 삶속에서 내가 체득하지 못한다면 그 친구 바로 옆에서 그 모습을 느끼라.
책보다 많은 것을 실제의 삶속에서 배울것이며, 책보다 더 가까이 느낄것이며,
그 또는 그녀가 당신의 어깨를 감싸며 그의 에너지를 줄것이다.
출처 : brickandmortarbar.com
그리고 에세이 쓰는법을 배우고 그림 그리는 법을 배워라. 여러가지 생각과 마음을 글로 담고 그림으로 그리다 보면,
그 작품이 내 자존감을 올린다. 그 작품은 나의 내면에서 나온 생각이 표현된 나만의 창작물이다.
누구라고 그 작품을 칭찬해 주는건 당신의 내면을 칭찬해 주는것이다.
그렇게 하면 자존감은 성인이 되어도 수직 상승할 수 있다.
*그림과 에세이 배우고 싶은 분은 댓글 달아주세요~^^
'나의 그림과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직 드로잉 보드, 보다 무료로 펜업으로 그려보아요 (0) | 2020.11.04 |
---|---|
태권도를 좋아하시나요 (0) | 2020.10.26 |
해피 핼로윈~ (0) | 2020.10.26 |
후쿠오카의 어느 카페에서 (0) | 2020.10.26 |
터키 하늘의 열기구 (0) | 2020.10.26 |